티스토리 뷰
은퇴 이후 혹은 직장을 퇴직하고 난 후를 위한 노후 준비가 필요합니다. 때문에 우리가 국민연금 납부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하지만 국민연금 고갈로 인해 최근 이슈사항이 있었습니다. 수령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되었을 때 나는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알아보기를 준비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 금액 알아보기
직장인분들의 경우 월급명세서를 보면 국민연금이 납부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근로자 4.5%, 사업주 4.5%씩 부담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죠.
지역가입자 | 국민연금 납부액 = 소득월액 X 9% |
직장가입자 | 국민연금 납부액 = 월급 X 4.5% |
국민연금 수령 나이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은 가입기간과 기준소득월액에 따라 최종 결정됩니다. 다만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수급 개시연령이 되는 가입자에게 지급됩니다. 만약 국민연금 납부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조기노령연금 지급개시연령 이상인 자가 소득이 없는 경우는 연금 받는 시기를 최대 5년을 앞당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래 받을 수 있는 나이보다 앞당겨 받는 만큼 일정 수준 감액(연간 6%씩 감액)된 금액을 받게된다는 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방법
그렇다면 수령 연령이 되었을 때 받게 될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예상 수령액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혹은 <내 곁에 국민연금> 앱을 접속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후 내 연금 알아보기-예상연금액 조회 클릭 후 본인인증을 완료하면 만 60세 이후 받을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①예상연금액 조회
②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
③본인 인증 하기
④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지금까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수급 연령이 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확인하여 은퇴 계획 및 여유 있는 노후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